1. 차트 매매
일반적으로 좋은 종목은 등락을 반복하며 천천히 우상향한다. 이를 차트로 보면 어떤 패턴이 있지 않을까 하는 의문에서 기술적 분석이라는 개념이 생겨난다.
기술적 분석에는 엘리엇 파동이론, 보조지표(이동평균선, MACD, 거래량) 등을 활용한 다양한 기법들이 있다. 예를 들어 엘리엇 파동이론 및 주식 이동평균선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엘리엇 파동이론
엘리엇 파동(Elliott Wave)은 금융 시장의 가격 움직임을 분석하기 위한 기술적 분석 도구 중 하나이다. 이 이론은 랄프 넬슨 엘리엇(Ralph Nelson Elliott)에 의해 개발되었으며, 시장 가격이 특정 패턴을 따라 움직인다고 가정한다. 엘리엇 파동 이론의 핵심 개념은 다음과 같다.
- 파동 구조: 엘리엇 파동은 총 8개의 파동으로 구성된다. 상승 추세에서는 5개의 상승 파동(동향 파동)과 3개의 하락 파동(조정 파동)으로 구성된다. 하락 추세에서는 반대로 5개의 하락 파동과 3개의 상승 파동으로 구성된다.
- 파동의 단계: 엘리엇 파동은 크게 두 가지 단계로 나눌 수 있다.
● 임펄스 파동(Impulse Waves): 주 추세 방향으로 움직이는 5개의 파동(1, 2, 3, 4, 5).
● 조정 파동(Corrective Waves): 주 추세와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는 3개의 파동(A, B, C).
- 프랙탈 구조: 엘리엇 파동은 프랙탈 구조를 가지고 있어, 작은 파동이 더 큰 파동 안에 포함되고, 큰 파동이 더 큰 추세 안에 포함되는 식으로 여러 수준의 파동이 존재한다.
- 피보나치 비율: 엘리엇 파동 이론은 피보나치 수열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각 파동의 길이와 지속 시간은 종종 피보나치 비율에 따라 조정된다.
2) 이동평균선 (Moving Average)
주식 이동평균선은 주식 가격의 추세를 파악하기 위한 기술적 분석 지표 중 하나이다. 이동평균선은 일정 기간 동안의 주가 평균을 나타내는 선으로, 주가의 추세를 쉽게 파악할 수 있게 해준다.
이동평균선의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다.
- 계산 방식: 이동평균선은 일정 기간 동안의 주가 평균을 계산하여 그래프로 나타낸다. 예를 들어 20일 이동평균선은 최근 20일 동안의 주가 평균을 나타낸다.
- 추세 파악: 주가가 이동평균선 위에 있으면 상승 추세, 아래에 있으면 하락 추세로 판단할 수 있다. 이동평균선이 상승하면 상승 추세, 하락하면 하락 추세로 볼 수 있다.
- 매매 시점 판단: 주가가 이동평균선을 상향 돌파하면 매수 신호, 하향 돌파하면 매도 신호로 해석할 수 있다.
- 단기/장기 추세 파악: 단기 이동평균선(예: 20일)과 장기 이동평균선(예: 200일)을 함께 사용하면 단기와 장기 추세를 동시에 파악할 수 있다.
해당 기법들을 이용하여 과거의 캔들 차트를 분석해보면 그럴싸하게 접목된다. 하지만, 여기에는 큰 맹점이 있는데 바로 차트의 형태는 과거의 기록일 뿐이라는 것이다. 기술적 분석을 통해 미래의 주가를 예측할 수 있다면 누가 돈을 벌지 못하겠는가? 차트 매매를 하는 순간 결국 기업을 보지 않고 시세를 보고 판단하게 되어 결국 잦은 매매가 되고 앞 장에서 설명한 도박이 된다.
보통 증권방송에서 전문가들의 상담을 보면 기업에 대한 기본적 분석은 없고, 대부분 차트를 보면서 저항선과 지지선을 바탕으로 손절과 익절을 알려주며 단기매매를 권장한다. 여기에 익숙해진 초보 투자자들은 절대로 중장기 투자를 할 수 없게 된다.
그렇다고 차트를 활용하지 말라는 것은 아니다. 내가 선택한 종목에 대한 기본적 분석이 이루어지면 차트를 보고 분할 매수 참고용으로 활용하면 된다.
'주식 투자 > 주식 투자 성공 비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식 투자 실패하기 (투자 원칙 없는 매매) (0) | 2024.07.02 |
---|---|
주식 차트 보는 방법 - 1 (0) | 2024.07.01 |
주식 투자 실패하기 (타인의 추천 종목 매매) (0) | 2024.07.01 |
주식 투자 실패하기 (주식으로 도박하기) (2) | 2024.06.30 |
주식 투자의 필요성 (2) | 2024.06.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