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년 여름, 뜨거운 햇볕과 높은 기온으로 인해 우리는 폭염이라는 자연현상과 마주하게 됩니다. 단순한 더위를 넘어 건강에 위협이 될 수 있는 폭염에 대비하기 위해서는 기상청에서 발표하는 폭염특보를 정확히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특히 '폭염주의보'와 '폭염경보'는 그 심각성이 다르므로, 각각의 발령 기준을 아는 것이 여름철 안전을 지키는 첫걸음이 될 수 있습니다.
1. 폭염이란 무엇이며, 왜 위험할까요?
폭염이란 일반적으로 매우 심한 더위를 의미하며, 일상생활과 건강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고온 현상을 말합니다.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폭염으로 인해 땀 배출이 많아지면 수분 부족으로 혈당량이 높아져 쇼크를 일으킬 수 있으며, 자율신경계 합병증으로 체온 조절 기능이 떨어져 온열질환 발생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 환경보건종합정보시스템에서도 폭염을 심한 더위로 정의하며 그 위험성을 경고하고 있습니다 .
2. 폭염주의보, 그 기준과 의미는?
폭염주의보는 기상청에서 발표하는 폭염특보 중 하나로, 폭염으로 인한 피해가 예상될 때 국민들에게 주의를 당부하는 단계입니다.
가. 발령 기준
- 일 최고 체감온도가 33도 이상인 상태가 2일 이상 지속될 것으로 예상될 때 발령됩니다.
나. 의미
- 폭염주의보가 발령되면 야외 활동 시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며, 온열질환 발생 가능성이 높아지므로 충분한 수분 섭취와 휴식이 권장됩니다.
3. 폭염경보, 더 강력한 경고의 기준은?
폭염경보는 폭염주의보보다 더 심각한 수준의 폭염이 예상될 때 발령되는 특보입니다.
가. 발령 기준
- 일 최고 체감온도가 35도 이상인 상태가 2일 이상 지속될 것으로 예상될 때 발령됩니다.
나. 의미
- 폭염경보가 발령되면 온열질환 발생 위험이 매우 높아지므로, 가급적 야외 활동을 자제하고 실내에서도 냉방기를 적극적으로 사용하여 체온을 조절해야 합니다. 특히 노약자나 만성질환자는 더욱 세심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4. 폭염특보 발령 시 필수 안전 수칙
폭염특보가 발령되면 다음과 같은 안전 수칙을 반드시 지켜야 합니다.
가. 수분 섭취
- 갈증을 느끼지 않더라도 물을 자주 마셔 탈수를 예방해야 합니다. 특히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신장질환자의 경우 한꺼번에 너무 많은 물을 마시면 부종이나 저나트륨 혈증이 발생할 수 있으니 주의가 필요합니다 .
나. 야외 활동 자제
- 가장 더운 시간대(낮 12시~오후 5시)에는 야외 활동을 최소화하고, 불가피하게 외출 시에는 양산이나 모자를 착용합니다.
다. 시원하게 지내기
- 헐렁하고 가벼운 옷을 입고, 샤워를 자주 하여 체온을 낮춥니다. 실내에서는 에어컨이나 선풍기를 사용하여 적정 실내 온도를 유지합니다.
라. 온열질환 증상 인지 및 응급처치
- 두통, 어지럼증, 메스꺼움 등 온열질환 의심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시원한 곳으로 이동하여 휴식을 취하고, 증상이 심하면 119에 신고해야 합니다 .
마. 취약 계층 확인
- 홀로 계신 어르신이나 만성질환자 등 폭염에 취약한 이웃의 안부를 주기적으로 확인합니다.
폭염주의보와 폭염경보의 발령 기준을 정확히 이해하고, 이에 따른 행동 수칙을 숙지하는 것은 우리 자신과 사랑하는 사람들의 건강을 지키는 데 매우 중요합니다. 올 여름도 기상 정보를 주시하며 현명하게 대비하시어, 건강하고 안전한 여름을 보내시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알면 돈이 되는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AI의 '그럴듯한 거짓말': 할루시네이션 뜻과 현명한 사용법 알아보기 (1) | 2025.07.12 |
---|---|
혈당 스파이크 뜻, 대표적인 증상 및 예방법 알아보기 (3) | 2025.06.29 |
놓치면 손해! '복지멤버십' 가입하고 숨은 복지 혜택 모두 찾기 (3) | 2025.06.18 |
국회의원 월급(급여, 봉급, 연봉) 알아보기 (2) | 2025.06.08 |
공무직 근로자 기본급 및 수당 기준 알아보기 (3) | 2025.06.08 |